본문 바로가기
  • BLG-ZYNGIROK-모토-꿈꾸며-배우고-나누며-이루다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02

Gabia | 2차 도메인 만들기 - 2022년 기준 Gabia | 2차 도메인 만들기 - 2022년 기준 2차 도메인이란? amazon.com, navar.com과 같이 흔히 사용하는 닷컴 앞부분에 하나의 단어로 이루어진 주소를 1차 도메인이라고 부른다. 이 1차 도메인 앞부분에 단어를 추가하여 word.domain.com과 같은 형태로 만들 때 추가한 단어를 2차 도메인이라고 한다. 2차 도메인을 사용하는 이유 2차 도메인을 사용하면 완전히 다른 사이트로 구성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하나의 새로운 도메인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서 science.zzz라는 도메인이 있다고 하자. 과학과 관련된 것을 다룰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이 때 앞부분에 단어를 추가해 physics.science.zzz 물리를 전문으로 하는 웹페이지를 제작하거나 news.science.zzz와 같이 뉴스를 다루는 기존의 sci.. 2022. 6. 14. 18:44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DB 설정하기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DB 설정하기 테이블 생성 H2가 자동으로 생성해 주던 테이블들을 보안을 위해 직접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IntelliJ에서 RDS에 처음 접속했을 때 TEST 테이블은 만든 방식으로 두 개의 테이블을 만들 것이다. Entity 테이블 IntelliJ에서 Application을 실행하면 콘솔창에 Hibernate와 함께 자동 실행됐던 쿼리문들이 나온다. Hibernate를 제외한 순수 쿼리문만을 복사한다. 엔터티 테이블이 여러개라면 위 처럼 여러개의 Hibernate가 나왔을 것이다. 하나하나 다 만들어 주면 된다. 데이터베이스 탭에서 QL 아이콘을 눌러서 New Query Console을 실행한다. 쿼리가 여러개라면 여러개를 복사해서 붙여 넣어주면 된다. 줄은 띄고 해도 되고 이어서 해도 된다. 다만 각 쿼리.. 2022. 6. 14. 00:02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properties 파일 생성하기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properties 파일 생성하기 보안 관련 파일 보안과 직결된 파일들은 gitignore에 등록되어 git에 등록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파일들은 직접 서버에 올려줌으로써 보안 이슈 발생 요소를 줄여준다. 본 포스트에서는 Java, OAuth2.0을 이용한 프로젝트이다. properties 파일들 로컬에서 작성했던 application-oauth.properties 파일을 직접 ec2 서버에 작성해서 만들 것이다. application-oauth application-oauth.properties 파일을 step1 폴더가 아닌 app에 생성한다. $ vim ~/app/application-oauth.properties 내용 직접 작성 로컬에서 작업했던 application-oauth.properties 파일 내용을 위에서 생성한 파일에.. 2022. 6. 13. 19:52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GitHub을 이용한 배포 - deploy script 작성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GitHub을 이용한 배포 - deploy script 작성 매번 새롭게 수정한 코드를 배포하기 위해선 이전에 한 Github에서 자료들을 aws로 clone 하고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고 배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할 때마다 반복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자동화할 수 있도록 쉘 스크립트를 작성해 두면 좋다. Shell Script Shell이란? 쉘이란 운영체제와 커널 사이에 위치한 인터페이스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직관적으론 명령어를 해석해 운영체제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Shell Script란? 쉘 스크립트란 미리 명령어를 프로그램으로 작성해 놓은 것을 말한다. 이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안의 명령어들이 순서대로 실행되어 반복되는 일을 자동화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웹사이트를 서버에 배포하는 과정도 일정하고 반복적이기 때문에 명령어들을 Shel.. 2022. 6. 13. 16: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