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4 AWS EC2 터미널 접속 시 IP대신 서비스 이름 뜨게 하는 방법 터미널로 EC2 접속했을 때 ec2-user를 표시할 때 ip주소가 뜨도록 설정이 되어 있다. 만약 여러 개의 서버를 동시에 관리 중이라면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는 ip로 각 서버를 구분하기가 쉽지도 않고 실수를 만들기도 쉽다. 실수가 발생하기 쉬운 것은 빨리 대처를 해줘야 한다. 본 포스트에서는 ip 대신 서비스 이름을 표기해서 명령어가 어떤 서버에 작동할지 명확히 표현하도록 해보겠다. HOSTNAME 변경 Amazon Linux AMI 1인 경우 현재 ip가 표시되는 이유는 HOSTNAME이 기본으로 localdomain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어떤 HOSTNAME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먼저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시켜 확인해 보자. sudo vim /etc/sysconfig/network 여기서 'a.. 2022. 6. 4. 18:29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리눅스 설정 (Mac 기준) EC2 생성 후 설정 EC2를 생성했다는 건 아마존에 컴퓨터 한 대를 배정 받은 것과 같다. 새롭게 운영체제를 골라 설치한 새 컴퓨터와 같다. 따라서 호스팅 하고자 하는 웹사이트 구동 방식에 따라 필요한 설정들을 해줘야 한다. 본 포스팅에서 하는 웹사이트는 Java 8을 기반으로 하며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서비스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해줘야 하는 초기 설정 중 Java 설치와 타임존 설정이 있다. Java 8 설치 터미널을 이용해서 EC2에 접속한다. 그런 다음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한다. 아래의 명령어는 맥 기준이라는 점 유념하길 바란다. sudo yum install -y java-1.8.0-openjdk-devel.x86_64 그럼 자동으로 설치가 실행되고 완료 시 다음과 같은 메.. 2022. 6. 4. 16:47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SSH 원격 접속 (Mac 기준) 터미널을 통해 AWS 서버 원격접속 : SSH SSH는 Secure Shell 또는 Secure Socket Shell의 줄임말로써 원격으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두 가지 먼저 필요한 정보는 두 가지가 있다. pem 파일의 위치 경로 : pathOfPem 첫 번째로 필요한 것은 EC2 생성 시 발급 받은 키페어 pem 파일이다. pem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선 다운로드 해두었던 pem 파일의 위치 정보만 알면 된다. 탄력적 IP 주소 : elasticIPAddress 두 번째로 필요한 것은 EC2에 적용해 둔 탄력적 IP 주소이다. IP 주소는 인스턴스 정보에서 찾을 수 있다. 인스턴스 페이지에 들어가 인스턴스 아이디를 클릭한다. 많은 인스턴스 정보 중에서 탄력적 .. 2022. 6. 3. 21:01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EC2 생성하기 (Feat. 탄력적 IP) EC2란 EC2는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이다. Elastic Compute Cloud에서 C가 2개 여서 EC2라는 이름이 만들어 졌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하드웨어들의 성능이나 용량을 상황과 환경에 맞춰서 유동적으로 조절해 가며 사용할 수 있는 서버이다. EC2 생성하기 생성하러 하러 가기 AWS 관리 콘솔 메인 페이지에서 "가상 머신 서버"를 선택하거나 AWS 검색창에 EC2를 검색하여 EC2를 찾아 들어간다. EC2 페이지에 진입하면 화면 중간 쯤에 "인스턴스 시작" 항목이 있다. 여기서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서 팝업으로 나오는 인스턴스 시작을 누른다. 정보 입력 이름 및 태그는 이 인스턴스를 알아보기 위해서 내가 필요한 이름이다. 서.. 2022. 6. 3. 17:09 이전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4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