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4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GitHub을 이용한 배포 - Git 설치 토큰 Clone 본 포스트에서는 github에 Java로 작성된 웹페에지를 aws에 배포할 것이다. AWS에 Git설치하기 GitHub의 자료를 배포하기 위해선 AWS에 Git을 설치해야 한다. 터미널에서 AWS에 접속한 후 Github 설치 명령어를 입력한다. $ sudo yum install git 아래와 같은 용량의 파일들이 설치될 것이라는 알려준다. 설치를 원하므로 y를 입력해준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설치 완료 메시지가 뜬다. 설치가 정상적으로 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 볼 수 있다. $ git --version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git의 버전이 표시될 것이다. GibHub 토큰 발행하기 성공적으로 Git설치를 완료했으므로 이제 github에 접속하기 위.. 2022. 6. 13. 12:33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RDS PC에서 접속하기 with IntelliJ RDS PC에서 접속하기 인텔리제이를 이용해서 AWS 웹사이트에서 파라미터 그룹 설정을 마친 RDS에 PC에서 인텔리제이를 이용해 접속할 것이다. EC2 보안 그룹 id 복사 EC2의 보안 그룹 id를 복사해 와야 한다. 먼저 EC2의 보안 그룹 페이지를 찾아간다. 보안 그룹 리스트에서 EC2에 적용한 보안 그룹을 클릭한다. 세부 정보에서 보안 그룹 ID를 복사한다. RDS 인바운드 설정 이제 RDS 보안 그룹 설정을 할 것이다. Amazon RDS에서 데이터베이스 페이지로 이동한다. 데이터베이스 리스트에서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클릭한다. 데이터베이스 연결 보안 정보에 보안 섹션에 VPC 보안 그룹이 있다. 이 링크를 클릭하여 들어간다. 탭 메뉴에서 인바운드 규칙을 체크하고 인바운드 규칙 편집을 누른다. .. 2022. 6. 7. 00:33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파라미터 그룹 파라미터 그룹이란?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서 여러 가지 세팅을 정해둬야 한다. 어떤 언어까지 지원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것 인지, 이모티콘을 저장할 것인지 등등. 이런 설정을 중간에 바꾸게 되면 번거로운 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베이스 생성을 마쳤다면 바로 파라미터 그룹을 세팅하기를 추천한다. 파라미터 그룹 생성 Amazon RDS 메뉴에서 파라미터 그룹을 찾는다. 파라미터 그룹에 들어가서 파라미터 그룹 생성을 누른다. 기존에 기본으로 생성 된 것이 이미 하나 있지만 새로 생성할 것이다. 파라미터 그룹 생성 시 중요한 점 하나는 적용할 데이터베이스의 버전과 일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선택했던 데이터베이스 버전을 확인해 보면 된다. 그다음 그룹의 이름을 명확히 알아볼 수.. 2022. 6. 6. 19:55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RDS 생성하기 RDS RDS란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줄임말로 아마존 웹 서비스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이다. RDS 생성 AWS에 접속해서 검색창에 RDS를 검색하여 Amazon RDS 페이지로 이동한다. Amazon RDS 페이지 모습이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찾아서 눌러준다. 총 두 곳에 있지만 모두 같은 링크를 가리키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설정 이제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해 기초 설정들을 진행할 것이다. 본 포스팅에서는 표준 생성으로 진행할 것이다. 엔진은 MariaDB를 사용할 것이다. 버전은 특별히 써야 하는 것이 있지 않으면 건들지 않을 것이다. 템플릿은 프리티어를 사용할 것이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웹 사이트를 구축중이기 때문이다. 설정.. 2022. 6. 4. 20:43 이전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4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