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LG-ZYNGIROK-모토-꿈꾸며-배우고-나누며-이루다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55

Java | Out of range value for column "ColumnName" 오류 해결 오늘 반나절을 sql 오류 해결을 위해 사용해서 결국 해결했다. 올바른 해결책은 아닐 수 있지만 zyn과 같은 백엔드 초보들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되길 바란다. 문제점 데이터 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불러올 때 sql 오류로 "Out of range value for clumn 칼럼이름" 형태의 오류가 발생하였다. 문제 해결 과정 다른 사람들의 해결책 다른 사람들의 해결책을 찾아보면 데이터 타입이 맞지 않아서 발생했거나 enum Type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zyn은 이 해결책들을 적용할 능력이 되지 않는다. 답을 알려주는데 적용을 못했던 상황. zyn이 택한 방법 문제가 발생하는 곳을 찾기 위해 코드를 한 줄 작성할 때마다 프린트 함수를 작성해 두고 실행하면서 로그를 보며 오류가 발생하는지 .. 2022. 1. 26. 18:55
IntelliJ | 실행취소 (undo)와 재실행 (redo) 단축키 (Mac 기준) IntelliJ | 실행취소 (undo)와 재실행 (redo) 단축키 (Mac 기준) 맥북에서 인텔리제이를 사용하면서 아직도 낯선 단축키들이 많다. 바쁘게 코딩할 때는 그냥 모르고 지나가는데 하나하나 찾아서 알게 된 것들을 기록으로 남긴다. 오늘 남길 것은 실행 취소와 재실행(복구)의 단축키이다. UNDO & REDO 실행취소 undo 실행취소의 단축키는 직관적으로 윈도우에서 사용하던 것과 같다. command + z 재실행 redo 재실행 즉 실행취소의 취소 또는 복구는 윈도우에서는 "Ctr + y"였다. 하지만 맥은 기존의 기능을 뒤바꿀 때 기능키를 추가하고 알파벳 명령어는 일치시키는 형식을 많이 취한다. 그래서 실행취소의 "command + z"에 기능키를 하나 추가해 주었다. command + shift + z 생각의 흐름 마무리 알기 전까지는 왜 이렇게 직관적이지 않고 다른거야 .. 2022. 1. 24. 13:08
IntelliJ | 맥에서 인텔리제이 여러 프로젝트 탭으로 실행하는 방법 IntelliJ | 맥에서 인텔리제이 여러 프로젝트 탭으로 실행하는 방법 여러 프로젝트를 펼쳐두고 코딩을 해야 할 때가 있다. 그런데 그럴 때마다 창을 바꿔가면서 코드를 확인하는 건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럴 때 인텔리제이에 숨겨진 탭 기능을 이용해보도록 하자. 인텔리제이 여러 프로젝트 탭으로 실행하기 초기 세팅 일단 여러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한다. 인텔리제이에서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한 번에 띄워두고 싶을 때는 새 프로젝트를 새창으로 띄우기 설정을 해야 한다. 인텔리 제이를 실행 후 왼쪽 위 "IntelliJ > Peferences"를 실행한다. 왼쪽 메뉴 리스트에서 "System Settings"를 선택하고 "Project"의 "Open project in"에서 "New window"를 선택하고 "OK"버튼을 눌러준다. 이렇게 하면 여러 개의 .. 2022. 1. 23. 15:10
독서 |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 KBS스페셜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제작팀 독서 |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 KBS스페셜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제작팀 KBS 다큐멘터리를 책으로 엮은 라는 책을 읽었다. 종자산업이 농업계에 미치는 일면을 알려주는 책이다. 왜 이 책을 읽게 되었는지 무엇을 알게 되었는지 그래서 어떤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지 이야기해보겠다. 종자, 세계를 지배하다 책을 읽은 동기 육종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그래서 여기저기 알아보던 중 종자에 대한 KBS 다큐멘터리를 책으로 엮은 라는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종자가 미래 산업 중 하나라는 것은 알지만 종자산업 전반에 대해서 아는 것이 부족해서 이런 책이 있다는 것이 너무 반가워서 바로 주문해서 읽었다. 책을 통해서 알게 된 점 농민들이 종자 회사에 종속되어 간다. 종자회사들이 개발한 종자는 특허권이 걸려 있는 회사의 소유물로 간주된다. 따라서 농민들이 그 종자를 이용한다면 회사에 돈을 지불하.. 2022. 1. 21. 22: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