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LG-ZYNGIROK-모토-꿈꾸며-배우고-나누며-이루다
반응형

git4

소스트리 | 직전 내용 삭제 되고 추가된 걸로 커밋 돼는 이유 no newline at end of file 소스트리 | 직전 내용 삭제 되고 추가된 걸로 커밋 돼는 이유 no newline at end of file 커밋했을 때 변경하지 않은 직전 행이 삭제돼고 새로 추가 된 것처럼 커밋돼는 이유에 대한 글이다. 직전 내용 지우고 새로 작성한 것 처럼 커밋 텍스트 파일을 수정하면서 소스트리로 git을 다루는 방법을 연습중이다. 그런데 할 때마다 아래와 같은 메시지와 거슬리는 커밋이 발생한다. No newline of end of file ABC라는 텍스트에서 D 추가 했는데 마치 ABC 전체를 지우고 ABC 그리고 D를 추가한 것으로 나온다. 왜이런 걸까? 이유 이유는 git은 엔터를 쳐서 새로운 줄을 여는 것 조차 변화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AB를 입력한 다음 엔터를 치지 않고 커서가 B 뒤에 위치한 상태로 저장을 하게 되면 다음 수정에서 엔터만 쳐도 AB를 삭제하고 다시 작성한 것 처럼 인식한다. 해.. 2023. 4. 18. 17:29
소스트리 | 로컬 저장소 만들기 소스트리 | 로컬 저장소 만들기 로컬 저장소를 소스트리를 만드는 과정을 소개하는 글이다. Sourcetree 로컬저장소 만들기 소스트리를 사용하기에 앞서 가장 먼저 로컬저장소를 생성해 소스트리와 연결해 볼 것이다. 소스트리에서 로컬저장소는 깃으로 관리되는 버전들이 모여있는 공간을 말한다. 맥 로컬에 디렉토리 생성 먼저 Finder 앱을 실행해 자신이 생성하고 싶은 아무 곳에나 폴더하나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한 이 곳을 소스트리의 로컬저장소로 사용할 것이다. 로컬 저장소는 프로젝트별로 생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프로젝트에선 원하는 위치에 또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고 아래의 단계를 따르면 된다. 소스트리와 로컬저장소를 연결 소스트리를 실행해 (로컬/원격) 탭에서 로컬을 선택한 다음 새로만들기 버튼을 누른다. 그럼 아래와 같은 드롭다운 메.. 2023. 4. 17. 17:07
git | Mac | 소스트리 설치하는 과정 git | Mac | 소스트리 설치하는 과정 Mac에서 소스트리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한 글이다. Sourcetree 맥에 설치하는 과정 Git 관리를 그래픽UI로 제공해주는 무료 서비스 소스트리를 설치해보자. 소스트리 사이트 방문 구글에서 sourcetree를 검색하여 소스트리 웹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다운로드 버튼을 누른다. Important information 창이 뜨는데 창 가운데 체크 버튼을 선택한 다음 활성화된 Download 버튼을 누른다. 만약 다운로드 허용 알림이 뜬다면 허용을 눌러주면 된다. 설치 다운로드 폴더에 다운로드 된 다음과 같은 아이콘이 있다. 실행해준다. 아래와 같은 알림이 뜨면 열기를 눌러주고 Application folder로 옮기는 안내에서는 관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 옮기는 걸 추천한다. Atlassian 계정을 등.. 2023. 4. 17. 16:24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GitHub을 이용한 배포 - Git 설치 토큰 Clone AWS 이용해서 웹사이트 만들기 - GitHub을 이용한 배포 - Git 설치 토큰 Clone 본 포스트에서는 github에 Java로 작성된 웹페에지를 aws에 배포할 것이다. AWS에 Git설치하기 GitHub의 자료를 배포하기 위해선 AWS에 Git을 설치해야 한다. 터미널에서 AWS에 접속한 후 Github 설치 명령어를 입력한다. $ sudo yum install git 아래와 같은 용량의 파일들이 설치될 것이라는 알려준다. 설치를 원하므로 y를 입력해준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설치 완료 메시지가 뜬다. 설치가 정상적으로 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 볼 수 있다. $ git --version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git의 버전이 표시될 것이다. GibHub 토큰 발행하기 성공적으로 Git설치를 완료했으므로 이제 github에 접속하기 위.. 2022. 6. 13. 12:33
반응형